top of page
M_13_house og ginseng.jpg

Hous of Ginseng​

​풍기인삼 유통센터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어 세계적으로 가장 질 좋은 인삼을 생산하는 인삼종주국으로 평가 받고 있는 한반도. 그 중 가장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는 풍기 고려인삼(Korean Ginseng)은 다년생 식물로 3~6년간 삼포어장이라 불리는 해가림에서 재배된다. 다른 작물에 비해 생장속도가 느리고 재배 조건이 잘 맞춰야 하는 인삼은 삼포어장 아래에서 다년간 성장하게 된다. 이렇듯 긴 시간 동안 인삼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켜주는 삼포어장은 ‘경작의 터’이며, 인삼이 나고 자란 ‘인삼의 집’이라 할 수 있다. 기다란 삼포어장이 경작지의 형상을 따라 켜켜이 덮인 인삼밭은 검은 파도가 일렁이는 듯한 풍경으로 이색적이고 특색 있는 경관을 형성한다.

On the Korean Peninsula, evaluated as a suzerain of ginseng, which produces the best quality ginseng in the world, having the blessed natural environment, especially, recognized as the one with the best quality, Korean Ginseng from Punggi is a perennial plant, cultivated under an artificial shade, called Sampoeojang in Korea for 3-6 years. Ginseng, which has a slower rate of growth and more difficult cultivation conditions than other crops, grows under Sampoeojang. Like this, Sampoeojang, which keeps ginseng growing well for a long time is a ‘ground for cultivation’ and can be said to be a ‘house of ginseng’ where ginseng grows. A ginseng field covered with layers of long Sampoeojang along the shape of the cultivated field forms a unique and distinctive scenery with a landscape with choppy black waves.

삼포어장은 수직과 수평의 얇은 목재부재 위에 천을 씌운 가벼운 가구식 구조이며, 작업자의 통행과 작업에 필요한 최소의 규모로 만들어진다. 삼포어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천으로 된 지붕에 있는데, 태양고도에 맞게 기울어진 지붕은 직사광선을 적절히 차단하고 통풍과 배수를 원활하게 한다. 이렇듯 삼포어장은 인삼재배에 있어 핵심이 되는 기능적인 최소의 집(모듈)인 것이다. 

우리는 ‘인삼의 공간’을 상징하는 ‘삼포어장’을 새로운 시선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전시•홍보• 판매장을 계획하였다. 소극적인 브랜딩 전략으로 현재는 인지도가 높지 않은 브랜드에 차별화된 이미지를 부여하여 풍기고려인삼의 우수성이 고객에게 전달되는 공간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Sampoeojang is in a lightweight furniture-type structure, in which cloth covers thin vertical and horizontal timber members, made in the minimum size required for the worker's pass and operation. The key feature of Sampoeojang is the roof made of cloth. The roof tilted to the altitude of the sun properly shuts off the direct sunlight and smooths ventilation and drainage. Like this, Sampoeojang is a functional minimal house (module), which is the key to the cultivation of ginseng.

We have planned an exhibition/promotion shop that reinterpreted ‘Sampoeojang’ symbolizing ‘the space of ginseng’ from a new and modern sense. As a passive branding strategy, we focused on the formation of a spatial image through which the excellence of the Korean Ginseng of Punggi would be delivered to customers, giving a differentiated image to the currently lesser-known brand.

1.img-(5).jpg
1.img-(7).jpg

홍보관 로비에 들어서면 풍기인삼을 상징하는 로고가 정밀하게 세공되어 발광하고, 배경이 되는 순백의 벽은 실내공간으로 흘러든다. 곡선형의 실내 공간은 중앙 통로를 중심으로 양쪽 면이 서로 다른 언어로 대응하며 입구부터 맞은편 끝단까지 연속된다. 로비의 흰 벽면이 연장되는 통로의 우측영역은 효과적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순백의 정제된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연속된 곡선 벽을 따라 브랜드의 고유한 역사와 가치를 소개하고 이어서 대표상품이 오브제화된 벽면까지 흐름이 이어진다. 이는 브랜드를 주제로 완결된 전시가 구성되는 효과를 갖는다.

When you enter the promotion hall lobby, a logo to symbolize Punggi Ginseng, precisely polished, emits light, while the pure-white wall on the background flows into the indoor space. The two sides of the curve type indoor space correspond to different languages centering around the middle passage and continue from the entrance to the opposite end. The right area of the passage to which the lobby’s white wall surface extends was designed as a pure-white refined space to deliver the brand image effectively. Along the continuous curved wall, the unique history and value of the brand are introduced, and this flow continues to the surface of the wall where there are objects of the representative products. This has an effect in which a completed exhibition is composed of the brand.

1.img-(11).jpg

통로의 좌측 판매영역은 자연의 품에서 생산된 인삼을 시각적, 의미적으로 재해석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인삼의 집'인 삼포어장을 기본 모듈로 판매수납장, 바닥 그리고 땅에서 자라난 듯한 전시수납장을 동일한 재료로 일체화하였다. 연속으로 배치된 모듈은 풍기고려인삼과 대지 그리고 정성스런 경작의 과정이 투영된 공간이미지가 되어 대중에게 환기되어 진다. 순백 전시공간과 목재를 주마감으로 디자인된 두 영역은 재질이 그라데이션으로 자연스럽게 전이되어 하나의 완결된 홍보관이 되고, 방문하는 고객들로 하여금 브랜드의 내재된 가치를 체화하고 더 나아가 자연스럽게 소비의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The left sale area of the passage can be said to be a space that visually and semantically reinterpreted ginseng produced in the bosom of nature. With Sampoeojang, the 'house of ginseng' as the basic module, a sale rack, floor and exhibition rack in which ginseng grows on the earth were integrated with the same materials. The module successively placed excites the public, becoming a spatial image in which the Korean Ginseng of Punggi, earth and sincere cultivation process are reflected. In the two areas designed with a pure-white exhibition space and timber as the main finishes, materials were naturally displaced to become one completed promotion hall by gradation, so that the visiting customers could embody the brand’s inherent value and further, lead to the process of consumption, naturally.

1.img-(27).jpg

More Gallery

House of Ginseng

Type : Interior

Location : 47 Ohyeon-ri, Bonghyeon-myeon, Yeongju-si, Gyeongsangbuk-do, Republic of Korea

Program : Comercial Facility, Display Shop

Project Area : 295 ㎡

Design Period : 2017. 04

Coopperation : THE CORNERZ

Copyright © SML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